여러분의 건강주치의로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
홈으로_ 유헬스건강정보_ 유헬스칼럼
단기간의 금연과 고강도 운동만으로 대사증후군 위험 ○○%↓
성인 남성이 고강도 운동을 하면서 담배를 끊으면 저강도 운동을 하면서 담배를 피우는 남성보다 대사증후군 위험이 65%나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.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8%로 나타났다. 대사증후군이란 한 사람에게 혈압상승, 고혈당, 혈중지질이상, 비만 등 심뇌혈관질환 및 당뇨병의 위험을 높이는 위험인자가 겹쳐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. 경북대학교 체육교육과 김맹규 교수팀은 2016~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~64세 성인 남성 5,984명을 대상으로 운동량과 흡연 상태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분석했다. 김 교수팀은 운동 강도인 met(metabolic equivalent of task)를 기준으로 성인 남성을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. met란 특정 신체활동에 소요되는 상대적 대사량으로, 운동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다. 평균 체구의 사람이 가만히 앉아서 안정 상태를 유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대사량을 보통 1 met로 본다. 주당 3,000 met 분 이상 운동하면 ‘고강도 운동’ 그룹, 600 met 분 이상 하면 ‘중강도 운동’ 그룹, 이보다 적으면 ‘저강도 운동’ 그룹으로 간주했다. 주당 met 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활동의 met를 시행 기간(min)으로 곱한 뒤, 주당 횟수로(per week) 다시 곱해주면 된다. 예를 들어, 걷기의 met 수치는 3.3이므로, 하루 30분 주 5일 가볍게 걸으면 495 met-min/week 정도가 된다. 그 결과,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절반 이상은 저강도 운동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드러났다. 저강도 운동 그룹은 57.4%, 중강도 운동 그룹은 29.2%, 고강도 운동 그룹은 13.4%였다. 성인 남성에서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7.8%로 나타났다. 흡연과 저강도 운동은 대사증후군의 발병 위험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. 고강도 운동을 하면서 담배를 끊은 남성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저강도 운동을 하면서 흡연 중인 남성보다 64.7% 낮았다.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“이 연구의 결론은 고강도 운동이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적인 수단일 수 있으며, 흡연과 저강도 운동은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”고 설명했다.